▲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지난 1년간 누적 이용객수가 770만 명을 넘으면서(전 구간 합산 누적 7,710,783명) GTX-A 노선이 명실공히 수도권 주민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수서∼동탄 구간은 지난 1년간 누적 약 410만 명이 이용하였고,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개통 3개월만에 누적 이용객 약 360만 명을 달성했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지난 주 평일 수서∼동탄 예측대비 75.1%, 운정∼서울역 91.1%
2024년 3월 30일 수서∼동탄 구간에서 첫 운행을 시작하고, 2024년 12월 28일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을 순차 개통한 지티엑스-에이(이하 GTX-A) 노선이 개통 1주년을 맞았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지난 1년간(2024.3.30∼2025.3.29) 누적 이용객수가 770만 명을 넘으면서(전 구간 합산 누적 7,710,783명) GTX-A 노선이 명실공히 수도권 주민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수서∼동탄 구간은 지난 1년간 누적 약 410만 명이 이용하였고,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개통 3개월만에 누적 이용객 약 360만 명을 달성했다.
GTX-A의 이용객 수는 수서∼동탄 개통 초기인 2024년 4월초, 주간단위 일평균 이용객 약 7.7천명(평일기준) 수준으로 시작하였으나 운정중앙∼서울역 구간 운행이 시작되면서 개통 1년 만인 '25년 3월말 주간단위 일평균 이용객 약 6만 2천명(평일기준)으로 약 8배 증가했다.
구간별로 살펴본 이용현황은 아래와 같다.
수서∼동탄 구간은 지난 1년간 누적 4,093,217명, 일평균 11,214명이 이용하였다. 개통 초 약 7.7천명이었던 주간단위 일평균 이용객수(평일기준)는 개통 1년 만인 '25년 3월말 16,171명(예측대비 75.1%)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보다 빠른 상승세를 보였다. 해당 구간의 이용객은 개통 3개월만에 누적 3,617,566명, 일평균 39,321명에 달했다. 첫 3개월 운행 결과, 주간단위 일평균 이용객수는 '25년 1월초 평일기준 33,596명(예측대비 67.1%)에서 2025년 3월말 45,600명(예측대비 91.1%)으로 빠르게 상승했다.
한편, 지난 1년간 일평균 이용객수가 가장 많은 구간은 지난 연말 개통한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으로 나타났다. 킨텍스∼서울역 구간은 그 뒤를 이었다. 두 구간을 이용한 이용객은 전체 이용객수의 약 39.1%로 나타났다.
남부 구간 중에서 일평균 승객이 가장 많은 구간은 수서∼동탄 구간으로서 일평균 전체 이용객 수의 11.3%다.
해당 구간의 높은 이용객 비율은 이동시간 단축 효과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GTX 개통 전 파주∼서울역을 이동하는 경우 기존 지하철은 46분(경의중앙선운정역~서울역), 광역버스는 66분(운정 산내마을~서울역)이 소요되었으나, GTX 개통 후 22분으로 단축됐고, 수서∼동탄의 경우도 광역버스 이용시 75분이 걸렸으나 21분으로 단축됐다.
지난 1년간 일평균 이용객이 많은 역은 서울역(31.4%), 운정중앙역(15.9%), 킨텍스역(10.2%) 순으로, 서울 도심과 파주·고양시 간 이동 수요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킨텍스의 주요행사일에는 이용자수가 크게 증가하여 GTX-A 노선이 킨텍스 등 수도권을 방문하는 이용객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하고 지역 활력 도모에도 기여하고 있다.
시간대별로는 평일의 경우 07∼09시, 17∼19시의 이용량이 가장 많아, 출퇴근 수요의 비중이 높은 것(평일 이용객의 41.3%)으로 나타났다. 주말의 경우는 이용객의 24.2%가 오후 시간대(15∼18시)보다 가장 많았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의 이용객이 가장 많고(16.4%) 일요일의 이용객이 가장 적었다(11.0%). 한편, 토요일도 두 번째로 높은 이용객 수를 보여(16.3%), 평일 출퇴근 수요 못지않게 주말 여가목적 이용 수요도 상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중교통 이용객 비중이 높은 킨텍스 행사가 개최되는 경우 주말 이용객이 예측대비 160%를 초과하기도 했다.
GTX-A 노선은 개통 후 지난 1년간 이용 편의를 지속 개선하고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해 왔다.
우선, 승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GTX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열차운행 횟수를 늘렸다. 수서∼동탄 구간은 2024년 12월 28일 상하행 각 52회에서 60회로 증회하고,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2025년 3월 1일 상하행 각 112회에서 141회로 증회했다. 이로써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출퇴근 시간 배차간격이 기존 10분에서 6.25분으로 줄어들었다.
GTX-A 노선의 완성을 위해 미개통 역사인 창릉역은 2025년 3월말 착공이 이루어져 향후 창릉신도시 입주민의 교통편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역은 2026년 무정차 통과, 2028년 완전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삼성역 무정차 통과가 이루어지면 GTX-A 노선 전체가 한번에 연결된다.
국토교통부 윤진환 철도국장은 “지난 1년간 770만 명이 넘는 승객이 이용해주시는 등 GTX-A 노선이 서울과 경기도 남·북부의 출퇴근난 해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미완의 구간인 창릉역, 삼성역 구간에 대해 안전·품질을 최우선으로 적기에 완공하여 보다 많은 분들이 GTX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