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대-신라대, 13만㎡ 부지에 국내 최초 신산업 클러스터, 스타트업 등 구축
신라대 ‘웰라이프 스쿨’-동명대 ‘모빌리티 스쿨’ 신설 목표로 학과흡수와 통합
충남대-한밭대, 유사 중복 통폐합과 사업비 배분⋅조교 재임용 등 첨예한 대립
충북대-한국 교통대, 교명 명칭 등 본질과 벗어난 문제로 선정 부정적인 영향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컬(Glocal) 대학 30’은 교육부가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이 높은 지방의 대학교 30곳을 선정해 자금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2023년에 10개교를 2024년 10개교, 2025년 5개교, 2026년 5개교를 선정한다. 이 과정에서 단독 또는 연합⋅통합을 통해 지원한 대학이 선정될 경우, 5년간 1,000억 원을 분할 지원받는다. 하지만 성과 미달 시에는 지원 중단 혹은 환수된다.
이 사업에서 일부 지방 대학들은 저출산 인구 감소와 학령인구 감소, 극심한 학생 자원난으로 생사기로 상황에서 ‘글로컬 대학 30 사업’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교육부의 본 지정 심사도 8월 말경 코앞에 다가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동 지원한 일부 대학들 사이에서 통합을 놓고 ‘이전투구’(泥田鬪狗)를 벌이고 있다. 글로컬 대학 공동체였던 충청권의 충남대와 한밭대는 통합 당위성에 공감하면서도 유사 중복 통폐합, 사업비 배분, 조교 재임용 등을 놓고 첨예한 대립과 갈등으로 통합 교육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청주에 있는 충북대와 교통대도 상황은 비슷하다. 충북대 청주캠퍼스는 기초-원천기술을 교통대 청주캠퍼스는 미래형 공학 중심을 목표와 함께 증평과 오창은 2차 전지·반도체·바이오·모빌리티(BBCM) 실증 캠퍼스라는 웅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양 대학은 교명 명칭부터 대립하고 있다. 충북대와 한국교통대 교명(校名) 선정위원회가 후보 명칭을 교육부에 제출하였지만, 실제 통합보다 캠퍼스 간 이동 금지 등 본질과 벗어난 문제로 선정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경남 부산지역은 지난 4월 ‘부산형 연합 대학 모델’을 통해 ‘글로컬 대학 30 사업’ 선정에 도전장을 낸 동명대와 신라대는 13만여㎡(4만여 평, 기부 포함) 캠퍼스 부지에 국내 최초로 부산시 미래전략 신산업 클러스터, 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 대학원 등을 구축해 대학의 혁신적 ‘빅딜 롤 모델’이 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무엇보다 혁신이 핵심이다. 동명대는 미래 모빌리티스쿨(Mobility School)을 신라대는 미래 웰라이프 스쿨(WellLife School) 신설을 목표로 학과흡수와 통합의 대수술을 단행한다. 2030년까지 입학 정원 30%를 줄이는 등 통합 수준을 강화한다.
그럼에도 양교 간 협의는 난항을 겪고 있다. 대학 본관 1층에서 항의 농성 중인 신라대 평의원단이 얼마 전 발표한 성명서에 ‘지금이라도 허남식 총장은 당당하게 이 사업을 접고 대면 평가 보이콧을 선언하시길 바랍니다’라며 글로컬 사업에 대한 신라대 내부의 극렬한 반발이 수면 위로 떠 올랐다. 향후 ‘선정’이 되더라도 난항을 예고한 상황이다.
지금 국내 사립대학들은 16년간 등록금 동결로 인해 고사 직전에서 숨만 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글로컬 대학 1천억 지원사업’은 어떤 면에서 사막의 단비와 같다.
선정된 대학들이 지자체와 함께 지역 산⋅학⋅연과 연합해 글로벌 대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한국 대학의 특수성이 반영된 발전 전략으로 모두가 윈윈할 묘수가 나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선정되더라도 중도에 성과가 부진하면 중도 탈락하거나 지원금 환수 조치를 피하기 어렵다. 자칫하면 지역 대학과 관련 산업이 함께 붕괴할 수 있는 선상에 놓여 있다. 단 한 명의 천재가 국가를 먹여 살린다는 말이 있다. 좁은 국토에 자원은 없고 사람이 많은 우리만의 특성을 살려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소비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